소리에 민감한 강아지, 원인과 교정방법 (feat. 소리교육 포인트)
생후 3주가 되면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시기가 됩니다.
어린 강아지 시기에 소리에 놀란 강아지는
성장을 하면서 작은 소리에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강아지일수록
소리에 대한 적응훈련 및 사회적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모든 소리의 노출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리에 민감한 원인
어린 시기에 소리에 놀란 경험이 가장 큰 원인이며,
성격적으로 여린 강아지에게서 나타나는 본능적 행동입니다.
때로는 사람에게 야단을 맞은 기억이 강해서 나타나기도 합니다.
천둥소리 바람소리 등, 사물에 대해 민감한 경우도 있습니다.
소리에 대한 공포와 스트레스는 자연적으로 강아지에게 불안감을 일으킵니다.
강아지들의 행동
○ 강아지들은 소리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침을 흘리거나 안전부절합니다.
○ 반려인이 강아지를 감싸 안으려 하면 반려인 어깨 위나 곁을 파고들어 숨으려는 행동을 합니다.
○ 울거나 강렬하게 짖는 행동을 하며 좁은 공간으로 몸을 숨기려 합니다.
○ 불안감이 심한 경우는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 심지어 날씨의 변화에도 두려워합니다.
교정방법 1.
소리에 놀란 견은 소리를 들려주면서 교정을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대개의 강아지는 천둥소리, 비, 바람, 사물의 움직임, 함성 등에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강아지가 놀란 경우 강아지를 감싸 안거나 긴장하거나 안타까운 행동을 보여서는 안 됩니다.
반려인이 불안해하면 강아지들은
소리에 적응을 하기보다는 사람에게 의지 하려는 행동이 강하게 나타나므로 도리어 강아지를 무시하기 바랍니다.
또한 소리보다 강한 것이 반려인이라는 것을 인식을 시켜 주도록 합니다.
소리에 놀라게 되면 강아지를 좌측 다리 옆에 앉게 만들어 줍니다.
강아지가 움직이려 하면 리드를 강하게 하며 움직이지 못하도록 합니다.
의도적으로 강아지를 끌고 다니며 소리를 적응시켜주도록 합니다.
소리가 나는 공사장이나 교통량이 많은 시끄러운 장소로 강아지를 데려가 적응을 하도록 합니다.
천둥소리는 화약총 소리를 들려주며 적응을 시켜주면 도움이 됩니다.
반려인이 약한 행동을 하면 강아지는 더욱 강하게 반응을 하므로,
반려인에게 복종을 하게 함으로써 소리에 대한 반응을 줄일 수 있습니다.
‘기다려’ 교육과 반려인 옆을 따라 걷는 훈련으로도 교정이 가능합니다.
가장 많은 소리를 들려주고, 복종에 대한 인식을 더욱 강하게 하며
소리보다 반려인의 명령에 복종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시켜 주시기를 바랍니다.
교정방법 2.
○ 크레이트 교육을 시켜 줍니다.
○ 크레이트는 강아지가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되기 때문입니다.
○ 강아지 집의 크기는 강아지가 들어가서 서있을 정도가 적당합니다.
○ 크레이트 훈련 교육 시 비나 천둥소리 가 날 때 가두어서 편안하게 쉬도록 합니다.
○ 크레이트를 평상시에 사람과 떨어져 자는 공간으로 활용을 하면서, 소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일 때 강아지가 안정을 얻을 공간으로 활용하는 것입니다.
○ 크레이트 교육은 분리불안과 불안정한 행동에 활용하면 좋은 효과를 봅니다.
소리교육 포인트
○ 소리에 놀란 경우는 소리로서 교육을 합니다.
○ 소리에 노출될 수 있는 사회적 환경에 적응시켜 나갑니다.
○ 강아지가 불안해하는 소리공간에 적극적으로 데리고 다닙니다.
○ 크레이트 훈련 교육으로 안정감을 심어줍니다.
○ 크레이트 교육은 분리불안 증상에서 가장 편안한 공간입니다.
○ 소리보다 사람이 강하게 통제를 하여 적응을 시켜줍니다.
○ ‘기다려’ 명령으로 소리에 적응하게 합니다.
○ 분리불안의 동작을 보일수록 반려인은 강아지를 감싸는 행동을 하여서는 안됩니다.
'반려동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고양이 중성화 수술 시기(feat. 중성화 수술 장단점) (0) | 2021.01.15 |
---|---|
초인종 소리에 짖는 강아지 (feat. 원인과 교정방법) (0) | 2021.01.13 |
강아지 무는 버릇 고치기 (feat. 원인과 교정방법 5가지) (0) | 2021.01.12 |
강아지 서열싸움이 심해요! (feat. 교정방법) (0) | 2021.01.11 |
강아지 장난감, 간식 집착 행동과 원인 (feat. 교정방법) (0) | 2021.01.11 |
댓글